안녕하세요.
오늘은 그동안 해왔던 미드 챔피언들의 리뷰에서 잠깐 다른 주제로 넘어가서 바텀의 주도권은 과연 원딜일까 서포터일까 라는 주제로 한번 글을 써볼까 합니다.
일단 롤의 주 라인은 탑 미드 바텀으로 바텀은 원거리딜러와 서포터가 같이 가는 특별한 라인이죠. 두명의 챔피언이 함께 있기에 다양한 싸움형태도 일어나고 변수도 그만큼 많습니다. 그렇다면 두 역할의 플레이어 중 어느 플레이어의 비중이 더 높을까요?
몇년 전까지만 해도 원거리딜러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할 수 있었습니다. 그때는 거의 대다수의 게임이 원거리딜러를 주로 키워서 마지막에 원거리 딜러가 게임을 압도하며 끝내는 구도로 게임이 이루어졌습니다. 그렇기에 서포터역할의 챔피언들은 말 그대로 원거리딜러를 서포팅하는 보조역할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서포터가 게임의 결과를 크게 좌지우지할 정도가 되지 않았었죠.
하지만 최근 추세는 점점 서포터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보조 역할을 하는 유틸 서폿보다는 부족한 딜을 폭발적으로 올려주는 딜 서포터, 극한의 고기방패 역할을 해주는 탱서포터, 그리고 cc기로 무장한 서포터들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그랩을 통하여 굉장히 큰 변수를 창출하고 있는 그랩형 서포터까지 서포터의 역할이 엄청나 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거리딜러들의 특성이 초반에는 엄청 약하다가 점점 성장을 거듭하며 데미지가 커지는 구도를 가지고 있는데요. 이때 초반에 약한 라인을 주로 정글들이 찌르면서 원거리딜러들이 쉽게 성장하지 못하는 게임들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원거리딜러 유저들은 굉장히 게임을 하기가 힘들어졌다고 할 정도입니다. 이 때 서포터들이 정글의 갱 각을 잘 봐주며 원딜들만 키우는 역할에서 게임 전체를 조율하며 오더를 내리는 역할들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상대 정글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도 서포터의 주 임무 중에 하나인데요. 이 것이 바텀 라인 뿐만아니라 미드 탑에게 까지 상대 적 정글의 위치가 어디있느냐라는 정보가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됩니다. 상대 정글로 부터 위험성이 낮으면 라인을 쉽게 밀기도 상대 라이너들을 강하게 압박을 할 수도 있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바텀라인전을 하면서도 종종 적 정글까지 들어가서 와드를 설치하고 시종일관 바쁘게 돌아다녀야 하는 역할까지 생겨버린 셈이죠.
한타구도에서도 예전보다 더 중요한 역할들 하게 되었습니다.
한타가 시작되면 적 주요딜러진들은 아군의 딜러진들을 암살하려 시도합니다. 이 때 원거리딜러들은 가장 좋은 먹잇감이 되죠. 특히나 도주기가 없는 원거리 딜러들은 사실상 삭제되고 시작된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인데요. 이 때 능력있는 서포터들은 아군에게 달라붙는 적 암살진들을 효울적으로 막아줍니다. 예를들어 노틸러스와 같은 경우 예전에는 r을 상대 딜러진들에게 먼저 쓰고 q로 달라붙었다면 최근에는 q나 r중 하나를 끝까지 아껴서 아군 원거리딜러에게 붙는 적 챔피언에게 사용을 합니다. 그럼 딜로스가 생긴 순간이 나오는데요. 이 순간에 아군 원거리딜러는 그 암살자를 순간적으로 삭제해준다면 한타구도를 매우 유리하게 이끌어 갈 수 있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노틸러스 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서포터의 한타 역할이 이렇게 바뀌었습니다. 공격적이게 운용을 하기 보다는 아군 딜러진을 최대한 지키는 방향으로 하여야 변수가 최대한 없어지겠죠. 아군이 불리한 상황이라면 조금은 달라집니다. 보다 강한 상대 적 딜러진을 순간 삭제를 하는 방향으로 스킬운용을 해야겠지만 아군이 유리하여 굳혀야 하는 상황일수록 아군 딜러들을 보호하는 역할에 치중을 해야 하는 서포터입니다.
그래서 감히 저는 바텀라인전에서의 역할비율은 서포터가 70%이상이라 봅니다.
많은 전문가들 또한 서포터의 역할을 비중있게 쳐주는 추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프로게이머들의 몸값도 영향력 있는 서포터들의 몸값이 천정부지로 뛰었죠. 예전에는 엄마와 같은 마음으로 곁에서 원거리딜러들의 능력을 보조해주는 서포터들이었다면 최근에는 강한 아버지의 마음으로 곁에 오는 적들을 힘으로 제압해주고 먹이를 잡아다 입에다 넣어주는(?) 강한 서포터의 시대가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선호하는 서포터의 챔피언들의 폭도 굉장히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예전부터 cc기가 많은 서포터들은 인기가 많았고 그랩류 서포터들 또한 전통적으로 인기가 많았지요. 하지만 오른, 마오카이 등과 같은 탱킹도 되면서 cc기도 하나씩 가지고 있는 서포터들부터 브랜드, 럭스와 같은 딜에 치중되어 있는 서포터들 또한 강세를 보이고 있고요. 종종 애쉬나 미스포츈같은 원거리 딜러를 주로 맡았던 챔피언들까지 서포터로 종종 보이게 됩니다.
롤은 항상 업데이트를 통하여 챔피언들도 리메이크가 되고 신규챔피언들도 나오고 아이템도 변화가 생깁니다. 항상 변화가 있기에 질리지 않고 오래 롱런하는 게임이지 싶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자주 바뀌는 게임추세에 따라 오랜만에 게임을 하는 올드 게이머들은 적응하기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어떻게 변화가 되는지 지켜봐야 하는 게임이라는 겁니다.
변화하는 추세를 잘 읽어 뒤쳐지지 않는 게이머들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댓글